
제품 수명주기 관리(PLM)란?
제품 수명주기 관리(PLM)란 구상에서 디자인, 제조, 판매, 서비스, 폐기에 이르는 제품 수명주기를 관리하는 프로세스를 의미합니다.
PLM 소프트웨어 기술은 기업이 신제품을 개발하고 출시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이 소프트웨어는 초기 디자인에서 제조, 공급망 관리 및 운영, 자산 유지보수에 이르는 제품 가치 사슬 전반에서 데이터를 손쉽게 추적하고 공유하도록 합니다.
PLM의 기본 원칙
혁신이 비즈니스 생존과 성공에 매우 중요한 오늘날, PLM은 제조업체가 더 낮은 비용으로 출시 기간을 단축해 차세대 제품을 개발하도록 돕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LM은 비즈니스 전략으로도 해석될 수 있지만, PLM의 3가지 기본 원칙은 팀이 협업하는 방식과 조직의 성장 및 발전 능력에 영향을 미칩니다.
- 제품 정의 정보에 대한 포괄적이며 안전하고 관리된 액세스 및 사용
- 제품 수명주기 전반에서 제품 정의와 관련 정보의 무결성 유지관리
- 정보를 생성, 관리, 배포, 공유, 사용하는 데 이용되는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관리 및 유지
제품 개발의 5단계
- 개념 및 디자인: 구상 단계에서는 경쟁업체 분석, 시장내 격차 또는 고객 니즈와 같은 요소를 바탕으로 제품의 요구사항이 정의됩니다.
- 개발: 필요한 툴 디자인과 함께 제품을 세부적으로 디자인하는 단계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계획된 제품의 검증 및 분석을 비롯해 시제품 개발 및 현장 시범 운영이 이뤄집니다. 이를 통해 제품 사용 방식과 추가로 필요한 개선사항에 관한 중요한 피드백을 얻을 수 있습니다.
- 생산 및 출시: 시범 운영으로 얻은 피드백을 활용해 디자인 및 기타 구성요소를 조정하고 출시에 적합한 버전을 제작하는 단계입니다. 신제품이 대규모로 생산된 후에 출시 및 배포가 이루어집니다.
- 서비스 및 지원: 신제품 출시에 이어 서비스와 지원이 제공되는 시점입니다.
- 폐기: 제품 수명주기가 끝나면 제품을 재시도하거나 새로운 개념의 아이디어로 발전시키는 과정과 함께 제품의 시장 철수를 관리해야 합니다.
PLM 시스템의 작동 방식
PLM 시스템은 디자이너와 엔지니어가 필요한 중요 데이터에 실시간으로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 시스템은 CAD(컴퓨터 원용 설계) 데이터를 BOM 및 ERP 시스템과의 통합 등 그 외 기업 데이터 소스와 연결해 프로젝트 관리를 합리화하고 제품 개발 수명주기의 모든 단계에서 제품 관련 데이터를 관리합니다.
또한 현재 제품에 대한 고객 및 전문가 피드백, 현장의 제품에 대한 성능 데이터, 제조와 같이 다운스트림 프로세스의 한계에 대한 가시성과 같은 외부 정보 소스에 대한 인사이트를 제공해 디자이너와 엔지니어가 서로 단절되지 않도록 합니다.
PLM 시스템은 설계와 엔지니어링을 너머 여러 팀에 유용합니다. PLM 시스템은 제품 개발 프로세스의 초기 단계에 손쉽게 피드백을 전달할 수 있도록 비즈니스 이해관계자 및/또는 공급업체에 '단일 데이터 소스' 가시성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제품 수명주기 관리의 진화
1980년대 AMC(American Motors Corporation)는 자동차 업계의 중소 기업이었습니다. 시장에서 크게 성장하기 위한 예산이 부족해 효과적으로 경쟁할 수 없었습니다. AMC 경영진은 프로세스를 개선하고 더욱 효율적으로 경쟁하기 위해 구상에서 수명 종료까지 제품을 추적한다는 아이디어를 떠올렸습니다. 바로, 제품 수명주기 관리가 처음 탄생한 순간입니다.
수집된 정보는 구상 단계에서 조달 및 생산 프로세스까지 더 나은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사용되었습니다. AMC는 시장 점유율을 높이고 이후 크라이슬러(Chrysler)에 인수되어 1990년대 중반까지 업계 최저 비용 생산업체로 자리매김하게 되었습니다.
오늘날 PLM은 제조 전반에서 채택되어 협업을 발전시키고 혁신을 촉진하며 설계에서 고객 수요와 제품 개별화에 이르기까지 성장을 효율적으로 지원합니다.
디지털 혁신 과 변화 가속화 시대에 포브스(Forbes)는 코로나19로 인해 제조 부문이 향후 18개월 안에 5년에 해당하는 혁신을 경험하게 될 전망이며, PLM은 기업이 제품을 시장에 더욱 빠르게 출시할 수 있도록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될 것이라고 예측합니다.
70
%
고객이 3년 전보다 더욱 맞춤화되고 개인화된 제품을 기대합니다
– 옥스포드 에코노믹스(Oxford Economics)
68
%
고객이 3년 전과 동일한 품질의 제품과 서비스를 보다 빠르게 받아보기를 기대합니다
– 옥스포드 에코노믹스(Oxford Economics)
PLM의 5가지 이점
다음은 기업이 PLM 솔루션에 투자해야 하는 5가지 핵심 이유입니다.
- 개발, 엔지니어링 효율성 및 실효성 개선: 인더스트리위크(Industry Week)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사일로가 엔지니어링 팀 성과에 가장 큰 문제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PLM은 실시간 데이터의 양방향 흐름을 실현해 지식을 공유하고 협업을 지원합니다.
- 엔지니어링 릴리스 프로세스 중 오류 제거: 초기에 파악된 제품 문제를 바로잡는 것이 훨씬 간단하고 비용이 덜 듭니다. PLM은 비용을 절감하고 제조 폐기물을 줄일 수 있는 추가적인 환경적 이점을 제공합니다.
- 시장 출시 기간 단축: 제품 수명주기의 모든 단계에서 최신 정보를 통한 단일 데이터 소스를 제공하는 PLM은 프로젝트 관리자가 중복되는 타임라인을 관리하고 제품 출시 기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 프로젝트 수행방식 개선: 기업 전반을 아우르는 디지털 PLM 솔루션은 고급 워크플로 관리를 지원합니다.
이 적용 사례에서 팀은 PLM으로 제품 비용을 정확하게 계산해 H2M(Handover-to-Manufacturing)의 새로운 디자인을 더욱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 고품질 설계: PLM은 제품 요구사항에 대해 디자이너와 엔지니어에게 한층 더 심층적인 인사이트를 제공합니다. 머신러닝과 통합된 PLM 시스템은 다양한 내부 및 외부 소스의 데이터를 취합해 성능 데이터와 고객 피드백을 새로운 기능 제안으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제품 수명주기 관리 예시
PLM 시스템은 제조업 전반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주요 업계로는 항공우주, 자동차, 방위 산업이 있습니다. 다음 3곳의 기업은 PLM을 혁신적인 방식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 시멘트 업계의 선두업체인 험볼트 베다그(Humboldt Wedag)는 미래 지향적인 응답형 PLM 솔루션을 구축해 3개 대륙에서 다양한 언어를 사용하는 직원이 설계 프로세스에서 협업할 수 있도록 지원했습니다.
- 압축 공기 솔루션의 선도적인 제조업체이자 공급업체인 카이저 콤프레소렌(Kaeser Kompressoren)은 협업과 생산성을 지원하는 중앙 집중화된 솔루션을 사용해 신제품에 대한 디자인 프로세스를 합리화했습니다.
- 바이오의약품 연구 및 생명과학 산업의 국제 파트너인 싸토리우스(Sartorius)는 모든 제품 데이터에 대한 단일 뷰를 통해 제품 개발을 최적화하여 품질 관리와 효율성을 향상시켰습니다.
PLM 문제 해결
현재, R&D 임원의 절반 미만이 엔드투엔드 디자인-납품 프로세스에 대한 가시성을 확보하고 있다고 말합니다. 이는 많은 기업의 PLM이 아직 단일 제품 데이터 소스로서의 잠재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또한, 제조 부문에서 인더스트리 4.0 관행을 채택하는 경우가 점차 늘면서 이용할 수 있는 제품 및 고객 데이터의 양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제품 수명주기 전반에 대한 가시성이 더욱 향상되었습니다. PLM 개체 간의 데이터 공유는 제품 수명주기 관리를 합리화할 수 있지만, 데이터가 올바르게 포착되어 분석되고 안전하게 배포되는 경우에만 가능하며 통합 AI, 머신러닝, 데이터 암호화에 대한 필요성이 더욱 중점 분야로 자리합니다.
마지막으로, 많은 PLM 지지자들은 엔지니어링을 너머 소프트웨어의 관련성을 전달하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습니다. 위에서 언급한 모든 사례에서처럼 기존의 엔터프라이즈 시스템과 통합하고 내장형 인공 지능을 제공하는 솔루션에 투자한다면 더욱 폭넓은 조직 전반에서 얻을 수 있는 용도와 가치가 향상될 것입니다.
PLM과 기술의 미래
시장에서 경쟁업체보다 앞서 나가고 최고의 인재를 유치하며 지속가능한 관행으로 최대한 고품질의 제품을 생산해야 한다는 점은 계속해서 중요성을 더할 전망입니다. PLM은 더욱 짧으면서 세심한 디자인 및 제품 엔지니어링 주기를 통해 이러한 부분을 만족시킬 수 있지만,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기술 투자를 전제로 합니다.
- 더 많은 제품이 사물인터넷 (IoT)을 통해 온라인으로 유입되고 있으며, 현장 제품에 대한 더욱 향상된 가시성과 소비자가 이미 사용하고 있는 제품을 업데이트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기 위해 디자이너와 엔지니어가 노력하고 있습니다.맥킨지(McKinsey)에 따르면, 이로 인해 제조업체는 제품 수명주기 전반에서 새로운 고객 가치를 지속적으로 창출할 수 있습니다.
- 지속가능성이 중요한 주제로 계속해서 대두되는 가운데, 비즈니스는 완전한 공급망 지속가능성 달성을 목표로 친환경 제품 설계, 제조, 물류를 통해 제품 개발 프로세스의 현대화 방안을 검토할 전망입니다.
- 다른 엔터프라이즈 소프트웨어와 마찬가지로 점점 더 많은 PLM 시스템이 SaaS(Software as a Service)로 클라우드에서 제공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중소기업에서 PLM을 더욱 쉽게 이용할 수 있게 되어 인력을 더욱 효율적으로 분산시키는 동시에 효과적인 제품 개발 팀에 필요한 협업을 계속 촉진할 전망입니다.
- 디지털 트윈은 IoT를 통해 물리적 '트윈'에 연결되어 PLM 시스템으로 관리하는 제품의 가상 모델입니다. 디지털 트윈 개념은 여전히 낯설지만 향후 몇 년 안에 제조업체에 상당한 비용 절감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IDC에 따르면, "2023년까지, 글로벌 제조업체의 65%가 IoT와 머신러닝 주도의 프로세스 디지털 트윈을 통해 운영 비용을 10% 절감할 전망"입니다.
PLM 관련 FAQ
제품 수명주기란 초기 구상에서 폐기까지 제품과 관련한 각 단계를 의미합니다. 여기에는 구상, 디자인, 시제품 제작, 제조, 서비스, 수명 종료 관리가 포함됩니다.
PLM 소프트웨어 시스템은 제조 부문에서 사용되어 제품 수명주기의 모든 단계에 걸쳐 제품 관련 데이터를 관리합니다. CAD 데이터를 다루는 설계 및 엔지니어링 팀이 주로 사용하며, PLM 시스템은 모든 비즈니스 이해관계자에게 제품 설계 프로세스에 대한 가시성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PDM은 제품 개발 및 유효 수명 전반에서 제품 관련 정보를 포착하고 유지관리하는 데만 중점을 두며 PLM은 제품 수명주기 전반에서 제품의 모든 측면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제품 개발 소프트웨어는 신제품 개발을 지원하는 솔루션을 의미합니다. 기능에는 제품 로드맵, 데이터 분석, 커뮤니케이션 툴, 태스크 할당 및 버그 추적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